우리 사회 소수 그룹의 안정을 돕기 위해 사회적 처방 프로그램을 만드는 예비사회적기업 ‘282북스가 지난해 탈 가정 청년들을 만나 처한 현실과 어려움 등을 파악했다.
부모 방임 등으로 집 나온 청년들 늘어 가정 밖 청소년에 비해 청년들은 ‘자립 가능 이유로 지원 빈약 부모가 주소 알 수 있어 거주 불안…알바에 지치고 우울증 시달려 30세 미만 결혼해야 단독가구.또는 가정 내 보호자가 적절한 양육 능력이 없는 경우가 해당한다.
주소지 분리가 어렵다 보니 기본적인 복지나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282북스 강미선 대표(사진)는 지난해 탈 가정 청년들을 면담하고 콜로키엄을 진행하며 실상을 파악했다.행정 관청이나 경찰로부터 가족 관련 서류가 갑자기 날아오고.
무력감에 빠지기 일쑤다.어려서부터 부모님이 ‘이래서 안 돼.
부모 소득에 걸려 기초수급 어려워 원해서가 아니라 살기 위해 나와 기본적으로 청년층에 대해선 자립 능력이 있는 존재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직접 소득에 도움을 주는 사회적 지원책이 많지 않다.
대다수가 어떤 도움이 있는지 자체를 모르고.18세 이상의 자립준비청년 범주 넓혀야‘282북스 강미선 대표 인터뷰예비사회적기업 282북스 강미선 대표.
특히 원 가족의 소득을 기준으로 청년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이어서 탈 가정 청년 지원에 공백이 생긴다.김성탁 기자 청년들이 처한 여건이 다양해 탈 가정 청년만 대상으로 별도 지원책을 도입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부모 소득에 걸려 기초수급 어려워 원해서가 아니라 살기 위해 나와 기본적으로 청년층에 대해선 자립 능력이 있는 존재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직접 소득에 도움을 주는 사회적 지원책이 많지 않다.하지만 청년은 그냥 따로 사는 것 아닌가라고들 생각한다.